7. 삼항 연산자
이는 3개의 항이 있는 연산자로 (조건항 ? 항 1 : 항 2) 로 표현이 되며, 조건항이 true 면 항 1이, false 면 항 2가 실행이 되는 연산자이다. 쉬운 연산자니까 패스.
8. 배정 대입 연산자
이 연산자는 주로 이런 식으로 표현된 연산자이다. =, *=, /=, %=, +=, -=, <<=, >>=, >>>= 등이다.
4번째 라인과 9번째 라인은, 과거 "[JAVA를 "잡아라"] 연산자의 우선 순위(2)" 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int 형보다 작은 byte 형으로 변수를 선언하고, 계산을 시도 하였고, 이를 자바에서는 int 형으로 변환, 저장을 하려고 시도하다, int 형 변수가 없어서,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다.
그렇다면, 이 배정 대입 연산자가 어디에 쓰이는지 용도가 바로 나온다. 즉, 이렇게 int 형보다 작은 자료형이라도, 그 작은 자료형으로 연산을 시도,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할 수 있겠다.
p.s 위의 글들은, 김승현 강사님의 열혈강의 Java Programming 의 Round 5-5, 동영상 강좌에 기초한 내용입니다.
이는 3개의 항이 있는 연산자로 (조건항 ? 항 1 : 항 2) 로 표현이 되며, 조건항이 true 면 항 1이, false 면 항 2가 실행이 되는 연산자이다. 쉬운 연산자니까 패스.
8. 배정 대입 연산자
이 연산자는 주로 이런 식으로 표현된 연산자이다. =, *=, /=, %=, +=, -=, <<=, >>=, >>>= 등이다.
1// class Exam05_08{4번째 라인과 9번째 라인은 에러가 발생한다. 4번째 라인과 9번째 라인을 대신해서 작성한 라인이 5번째 라인과 10번째 라인이다.
2//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3// byte a = 10;
4// a= a + 1; // 에러
5// a += 1;
6//
7// byte b = 15;
8// byte c = 58;
9// b = b + c; // 에러
10// b += c;
11//
12// System.out.println("B = " + b);
13// }
14// }
4번째 라인과 9번째 라인은, 과거 "[JAVA를 "잡아라"] 연산자의 우선 순위(2)" 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int 형보다 작은 byte 형으로 변수를 선언하고, 계산을 시도 하였고, 이를 자바에서는 int 형으로 변환, 저장을 하려고 시도하다, int 형 변수가 없어서,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다.
그렇다면, 이 배정 대입 연산자가 어디에 쓰이는지 용도가 바로 나온다. 즉, 이렇게 int 형보다 작은 자료형이라도, 그 작은 자료형으로 연산을 시도,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할 수 있겠다.
p.s 위의 글들은, 김승현 강사님의 열혈강의 Java Programming 의 Round 5-5, 동영상 강좌에 기초한 내용입니다.